컴퓨터로 작업을 하거나 영상을 볼 때 갑자기 소리가 들리지 않으면 무척 당황스럽죠. 방금 전까지 잘 나오던 소리가 왜 갑자기 먹통이 된 건지 답답한 마음이 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럴 때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몇 가지 간단한 확인만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아요. 지금부터 그 해결 방법들을 하나씩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터 소리가 안나올때 안들릴때
컴퓨터에서 소리가 나지 않는 현상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피커 연결 같은 물리적인 문제부터 윈도우 내부의 설정 오류, 혹은 드라이버 문제일 수도 있죠. 이런 상황에서는 순서에 따라 하나씩 점검해보는 것이 문제 해결의 지름길이 될 수 있답니다.
1. 가장 먼저 스피커가 컴퓨터에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헤드셋이나 스피커 연결선은 본체 뒷면이나 앞면의 녹색(OUT) 단자에 꽂혀 있어야 합니다. 스피커 자체의 전원이 켜져 있는지도 살펴보고, 볼륨 조절기가 있다면 소리를 키워서 재생되는지 들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2. HDMI나 DP, Type-C 같은 포트를 사용해 모니터나 TV에 연결한 경우에도 소리가 나지 않을 수 있어요. 이 케이블들은 소리 신호도 함께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먼저 모니터나 TV 자체의 소리가 음소거로 되어 있거나 너무 낮게 설정되어 있지는 않은지 리모컨 등을 통해 확인해 보세요.
3. 외부 디스플레이를 연결했는데도 소리가 안 난다면 윈도우 설정에서 사운드 출력 장치가 올바르게 되어 있는지 살펴봐야 해요. 키보드의 윈도우 로고 키와 'I' 키를 함께 눌러 설정 창을 연 뒤, '시스템' 항목의 '소리'로 들어가세요. 여기서 출력 장치가 현재 연결된 모니터(HD Audio)로 지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4. 제어판을 통해서도 출력 장치를 바꿀 수 있습니다. 윈도우 로고 키와 'R' 키를 눌러 실행창을 열고 'Control'을 입력하세요. 제어판이 나타나면 '소리' 항목으로 들어갑니다. 여러 장치 목록 중에서 HDMI로 연결된 오디오 장치를 기본값으로 설정하면 모니터에서 소리가 나게 할 수 있습니다.
5. 기본적인 사운드 볼륨 상태를 확인하는 것도 중요해요. 작업 표시줄 오른쪽 아래에 있는 스피커 모양 아이콘을 살펴보세요. 이 아이콘을 통해 현재 설정된 볼륨 크기를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소리가 너무 작게 되어 있다면 슬라이더를 움직여 소리를 조금씩 높여가며 들리는지 확인합니다.
6. 전체 볼륨은 큰데 특정 프로그램에서만 소리가 안 들릴 때도 있어요. 이럴 땐 작업 표시줄의 스피커 아이콘에 마우스 오른쪽을 가져가 '볼륨 믹서 열기'로 들어가세요. 여기서 각각의 프로그램별로 소리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데, 특정 프로그램만 음소거가 되어 있거나 소리가 작게 되어 있는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7. 여러 방법을 시도해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사운드 드라이버 문제일 수 있습니다. 먼저 기존 드라이버를 제거해 볼게요. 윈도우 로고 키와 'X' 키를 함께 누른 뒤 '장치 관리자'로 들어갑니다. '사운드, 비디오 및 게임 컨트롤러' 항목에서 현재 사용 중인 사운드 장치를 찾아 더블클릭 해주세요.
8. 장치 속성 창이 나타나면 여러 탭 중에서 '드라이버' 탭으로 이동하세요. 이곳에서 현재 설치된 드라이버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아래쪽에 있는 여러 항목 중에서 '디바이스 제거'를 선택하여 삭제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9. '디바이스 제거'를 누르면 마지막 확인 창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이 장치의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를 삭제합니다' 앞의 네모 칸을 채워준 뒤 '제거'를 진행하세요. 이 과정을 통해 기존 드라이버가 완전히 삭제되며, 제거를 완료하기 위해 컴퓨터를 재부팅하면 대부분의 경우 윈도우가 자동으로 새로운 드라이버를 설치해 줍니다.
갑자기 컴퓨터에서 소리가 나지 않아 당황스러웠던 분들을 위해 여러 가지 해결 방법을 순서대로 알아보았어요. 대부분의 문제는 간단한 연결 확인이나 설정 변경으로 해결되니, 오늘 알려드린 내용들을 차분히 따라 해 보시면 금방 다시 선명한 소리를 들으실 수 있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