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음 한자사전 필기인식


길을 가다가, 혹은 책을 읽다가 모르는 한자를 마주쳤을 때 어떻게 찾아야 할지 막막했던 적 있으신가요? 읽을 수도, 키보드로 입력할 수도 없어 답답했던 그 한자, 이제는 손으로 쓱쓱 그리기만 하면 그 정체를 알 수 있습니다. 어떻게 손으로 쓰는 것만으로 한자를 찾을 수 있는지, 그 신기하고 편리한 과정을 모바일 기준으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한자사전 필기인식

 

음과 뜻을 몰라 입력하기 어려운 한자를 직접 손으로 써서 간편하게 검색하는 방식이에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화면에 찾고 싶은 한자의 모양을 그대로 그리면, 시스템이 비슷한 모양의 한자들을 보여주어 쉽게 원하는 글자를 찾을 수 있게 도와준답니다. 다음 한자사전 필기인식은 다음 어학사전 홈페이지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어학사전 - https://dic.daum.net/hanja]

 

1. 홈페이지에 들어서면 검색창 옆으로 여러 아이콘이 보입니다. 그중 연필이나 붓 모양으로 생긴 '필기인식기' 아이콘을 선택해 주세요. 그러면 화면에 직접 글자를 쓸 수 있는 네모난 입력창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곳이 바로 우리가 찾으려는 한자를 그려 넣을 공간이며, 모든 과정의 시작점이 되는 곳입니다.

 

 

2. 나타난 필기 입력창에 손가락이나 터치펜을 이용해 찾고 싶은 한자를 최대한 정확하게 그려주세요. 획순이나 모양이 조금 틀려도 괜찮습니다. 인공지능이 사용자가 그린 모양을 분석해서 가장 비슷하다고 판단되는 한자들을 오른쪽에 순서대로 보여주기 때문에 너무 부담 갖지 않고 편안하게 쓰시면 됩니다.

 

 

3. 한자를 그려 넣으면 오른쪽에 내가 쓴 글자와 비슷하게 생긴 여러 한자들이 후보로 나타납니다. 이 목록을 잘 살펴보고 내가 찾으려던 한자와 똑같이 생긴 글자를 찾아서 선택해 주세요. 만약 목록에 없다면 '지우기'를 통해 다시 그리거나, '한 획 지우기'로 마지막 획만 수정하여 좀 더 정확한 결과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4. 후보 목록에서 원하는 한자를 고르면, 그 글자가 자동으로 검색창에 입력됩니다. 이제 '검색'을 누르기만 하면 해당 한자에 대한 모든 정보가 담긴 페이지로 이동하게 돼요. 이로써 복잡하게만 느껴졌던 한자 찾기의 거의 모든 과정이 마무리되고, 우리는 궁금했던 한자의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일만 남게 됩니다.

 

 

5.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는 해당 한자의 음과 뜻은 물론, 부수와 총획수 같은 기본적인 정보가 가장 먼저 보입니다. 또한, 그 아래로는 해당 한자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려주는 자원오행 정보와 함께, 실생활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보여주는 다양한 단어 숙어 예시들도 함께 제시되어 이해를 돕습니다.

 

 

6. 더 아래로 스크롤을 내리면 고사성어와 숙어 활용 예시까지 더욱 풍부한 정보를 만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단순히 글자의 의미를 아는 것을 넘어, 우리말 속에서 해당 한자가 어떤 맥락으로 쓰이는지 깊이 있게 파악할 수 있어요. 이러한 추가 정보를 통해 어휘력을 넓히는 데에도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제 모르는 한자가 나와도 더 이상 당황하지 마세요.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손으로 그려서 쉽게 찾을 수 있으니까요. 이 편리한 기능을 통해 한자와 좀 더 가까워지고, 우리말을 더욱 풍부하게 이해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