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 써서 찾기 사전


길을 걷다가 간판에서, 혹은 책을 읽다가 본문에서 우연히 마주친 한자. 분명 모양은 알겠는데 음과 뜻을 몰라 답답했던 경험, 다들 한 번쯤 있으실 겁니다. 이럴 때 어떻게 검색해야 할지 막막하게 느껴지는데요. 놀랍게도 키보드로 입력할 필요 없이, 손으로 모양만 그려서 바로 찾아내는 아주 편리한 방법이 있습니다. 그 방법을 지금부터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한자 써서 찾기 사전

 

읽는 법이나 부수를 전혀 몰라도, 마우스나 손가락으로 한자의 모양을 직접 그려서 그 글자의 음과 뜻, 획순 등 상세한 정보를 찾아볼 수 있는 편리한 사전 기능입니다. 한자 써서 찾기 사전은 네이버 사전 홈페이지에서 알아볼 수 있습니다.

 

[네이버 사전 - https://hanja.dict.naver.com/]

 

1. 검색창 바로 옆에 있는 붓 모양의 아이콘을 선택합니다. 이 아이콘이 바로 필기인식기를 여는 역할을 하여, 키보드로 입력하기 어려운 한자를 직접 그려서 검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첫걸음이 됩니다.

 

 

2. 필기인식기를 열면 한자를 쓸 수 있는 입력창이 나타납니다. 왼쪽의 넓은 칸에 마우스를 이용해 찾고 싶은 한자의 모양을 따라 그리면 됩니다. 쓰는 과정에 따라 오른쪽의 작은 칸들에 비슷한 모양의 한자들이 후보로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3. 찾으려는 한자의 획을 하나씩 그려나가면, 필기한 모양과 가장 유사한 한자들이 오른쪽에 순서대로 나타납니다. 예시처럼 'ㄴ' 모양을 그리자 여러 후보 글자가 제시되었습니다. 이 중에서 자신이 찾던 글자를 정확히 골라 선택해 줍니다.

 

 

4. 필기인식기에서 원하는 한자를 선택하면 그 글자가 자동으로 메인 검색창에 입력됩니다. 이제 검색창 오른쪽에 있는 녹색 돋보기 모양을 눌러 해당 한자에 대한 검색을 시작하면, 잠시 후 그 글자의 상세한 정보가 담긴 결과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5. 검색 결과 화면에서는 선택한 한자의 음과 뜻을 가장 먼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숨을 은, 새을 을'처럼 여러 음과 뜻을 가진 경우 모두 보여주며, 부수, 총 획수, 그리고 각 뜻에 대한 자세한 설명까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되어 있습니다.

 

 

6. 결과 화면에서 '획순보기'를 선택하면 해당 한자를 쓰는 순서를 애니메이션으로 볼 수 있는 새 창이 열립니다. 올바른 필기 순서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한자를 정확하게 쓰는 법을 익히거나 자녀의 한자 교육에 활용하기에도 매우 유용합니다.

 

 

7. 페이지를 아래로 내려보면 '학습정보' 항목에서 해당 한자의 유래나 만들어진 원리(육서)에 대한 설명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숨을 은(乚)' 자는 몸을 웅크리어 '숨다'의 뜻을 나타낸 지사문자라는 사실을 알 수 있어, 한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습니다.

 

 

이제 음을 모르는 한자를 만나도 더 이상 당황할 필요가 없습니다. 네이버 한자사전의 필기인식 기능을 활용하면 어떤 한자든 그 모양만 기억하고 있다면 손쉽게 정보를 찾아낼 수 있습니다. 이 글이 여러분의 한자 학습과 궁금증 해결에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